“터널은 왜 반원형일까?”, “발바닥 뼈는 왜 곡선이지?” 이런 질문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선 아치형의 구조가 힘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분산시키는지 알아야 한다. 또, 피겨 스케이팅 선수가 점프를 한 후 손을 모으는 이유, 체조와 스키 점프 선수가 공중에서 쉽게 방향을 바꿀 수 있는 이유를 알려면 ‘각운동량 보존 법칙’에 대해 알아 두면 좋다. 다소 어렵게 느껴지는 과학 원리 모두 우리의 생활과 밀접하게 관련이 있다. 그래서 국립과천과학관이 어린이부터 어른까지 온 가족의 호기심을 유발하는 과학 체험 콘텐츠들을 선보인다. 각각의 원리는 하단에 게재된 해설 영상을 통해 이해할 수 있다. 이 정도면, 방구석 과학관 나들이 대성공이다.

하루에 한 개씩 24일 동안 알아 보는 과학 원리

❶ 색깔 그림자
모든 그림자가 검은 색은 아니다.
다양한 색깔의 LED등을 흰색 표면에 비추고,
반사되어 눈에 들어오는 빛을 관찰해 보자.
❷ 각운동량 보존 법칙 체험
피겨 스케이팅 선수가 회전하는 방법은?
회전하는 의자에 앉아서 자신을 갑자기 더 빨리 회전하도록 만들어 보자.
❸ 숟가락 종
금속을 통해 전달되는 소리를 들어 보자.
서부 영화 속 악당들이 보안관의 말발굽 소리를 듣기 위해
왜 땅에 귀를 대는 지 알 수 있다.
❹ 구름의 생성
구름은 어떻게 만들어질까?
수증기가 상승하여 차가워지면,
작은 물방울이 되어 구름이 생성된다.
❺ 내리막 경주
같은 모양의 두 원통이 다른 속도로 구르는 이유는?
모양과 질량이 같더라도 중심이 무거운 원통이
둘레가 무거운 원통보다 더 빨리 구른다.
❻ 크기가 변하는 동공
동공에 빛을 보내 동공이 작아지는 걸 관찰해 보자.
동공은 크기를 변화시켜 눈에 들어오는
빛의 양을 조절한다. 빛에 노출된
동공의 크기를 관찰해 보자.
❼ 크기와 거리
물체의 크기, 잘못 파악할 수도 있다?!
크기와 거리에 대한 단서를 없애,
크기가 다른 비슷한 두 물체의
크기가 같다고 생각하도록
우리는 뇌를 속일 수 있다.
+
[해설 영상] "24개의 궁금한 과학 원리, 연구원이 직접 알려 준다!"

(위 이미지 클릭시, 해설 영상 페이지로 이동)
[국립과천과학관 유튜브] 를 통해 과학관 랜선 무료 입장 가능
| 글쓴이 국립과천과학관 정광훈 연구관
#칼럼 #전문가칼럼 #국립과천과학관 #과학원리 #체험 #랜선 #나들이
“터널은 왜 반원형일까?”, “발바닥 뼈는 왜 곡선이지?” 이런 질문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선 아치형의 구조가 힘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분산시키는지 알아야 한다. 또, 피겨 스케이팅 선수가 점프를 한 후 손을 모으는 이유, 체조와 스키 점프 선수가 공중에서 쉽게 방향을 바꿀 수 있는 이유를 알려면 ‘각운동량 보존 법칙’에 대해 알아 두면 좋다. 다소 어렵게 느껴지는 과학 원리 모두 우리의 생활과 밀접하게 관련이 있다. 그래서 국립과천과학관이 어린이부터 어른까지 온 가족의 호기심을 유발하는 과학 체험 콘텐츠들을 선보인다. 각각의 원리는 하단에 게재된 해설 영상을 통해 이해할 수 있다. 이 정도면, 방구석 과학관 나들이 대성공이다.
❶ 색깔 그림자
모든 그림자가 검은 색은 아니다.
다양한 색깔의 LED등을 흰색 표면에 비추고,
반사되어 눈에 들어오는 빛을 관찰해 보자.
❷ 각운동량 보존 법칙 체험
피겨 스케이팅 선수가 회전하는 방법은?
회전하는 의자에 앉아서 자신을 갑자기 더 빨리 회전하도록 만들어 보자.
❸ 숟가락 종
금속을 통해 전달되는 소리를 들어 보자.
서부 영화 속 악당들이 보안관의 말발굽 소리를 듣기 위해
왜 땅에 귀를 대는 지 알 수 있다.
❹ 구름의 생성
구름은 어떻게 만들어질까?
수증기가 상승하여 차가워지면,
작은 물방울이 되어 구름이 생성된다.
❺ 내리막 경주
같은 모양의 두 원통이 다른 속도로 구르는 이유는?
모양과 질량이 같더라도 중심이 무거운 원통이
둘레가 무거운 원통보다 더 빨리 구른다.
❻ 크기가 변하는 동공
동공에 빛을 보내 동공이 작아지는 걸 관찰해 보자.
동공은 크기를 변화시켜 눈에 들어오는
빛의 양을 조절한다. 빛에 노출된
동공의 크기를 관찰해 보자.
❼ 크기와 거리
물체의 크기, 잘못 파악할 수도 있다?!
크기와 거리에 대한 단서를 없애,
크기가 다른 비슷한 두 물체의
크기가 같다고 생각하도록
우리는 뇌를 속일 수 있다.
+
[해설 영상] "24개의 궁금한 과학 원리, 연구원이 직접 알려 준다!"
(위 이미지 클릭시, 해설 영상 페이지로 이동)
| 글쓴이 국립과천과학관 정광훈 연구관
#칼럼 #전문가칼럼 #국립과천과학관 #과학원리 #체험 #랜선 #나들이